One off, in Seongbuk


아늑한 집 같은 공간이 되었으면 좋겠다 상상하며 만든 카페원오프가 성북구에 문을 열었습니다. 카페원오프는 친구네집에 놀러온 것 같은 아늑한 집의 분위기를 상상하며 만들었어요.



기존 답답하게 공간이 구획되어있었던 부분의 기둥 옆 불필요한 가벽을 철거하여 큰 창에서 들어오는 따듯하고 밝은 채광을 안으로 유입시켰습니다. 벤치의 손님과 바테이블의 손님간의 공간구분을 위해 칸막이 디피장을 마련했구요. 2층에 위치한 매장의 특성상 들어오는 입구부분은 가게의 이미지를 구축하는 가장 큰 역할을 가집니다. 기존 샷시를 유지하되 위에 우드격자창을 덧대어 보다 아늑한 느낌의 리빙룸을 완성시켰습니다.



주방과 화장실을 분리해주기위해 주방의 벽을 조금 더 빼내어 화장실 입구를 독립적인 공간으로 느낄 수 있게 만들었어요. 그 덕분에 다소 높은 레벨의 화장실로 올라가는 낮은 계단도 만들어주었고 예쁜 스탠드를 세워 조도조절의 역할과 동시에 코지한 화장실파사드를 완성했습니다.


Design

Interior


Space

Cafe


Site 

Seongbuk, Seoul


Date

June, 2018

One off, in Seongbuk


아늑한 집 같은 공간이 되었으면 좋겠다 상상하며 만든 카페원오프가 성북구에 문을 열었습니다. 카페원오프는 친구네집에 놀러온 것 같은 아늑한 집의 분위기를 상상하며 만들었어요.



기존 답답하게 공간이 구획되어있었던 부분의 기둥 옆 불필요한 가벽을 철거하여 큰 창에서 들어오는 따듯하고 밝은 채광을 안으로 유입시켰습니다. 벤치의 손님과 바테이블의 손님간의 공간구분을 위해 칸막이 디피장을 마련했구요. 2층에 위치한 매장의 특성상 들어오는 입구부분은 가게의 이미지를 구축하는 가장 큰 역할을 가집니다. 기존 샷시를 유지하되 위에 우드격자창을 덧대어 보다 아늑한 느낌의 리빙룸을 완성시켰습니다.



주방과 화장실을 분리해주기위해 주방의 벽을 조금 더 빼내어 화장실 입구를 독립적인 공간으로 느낄 수 있게 만들었어요. 그 덕분에 다소 높은 레벨의 화장실로 올라가는 낮은 계단도 만들어주었고 예쁜 스탠드를 세워 조도조절의 역할과 동시에 코지한 화장실파사드를 완성했습니다.


Design

Interior


Space

Cafe


Site

Seongbuk, Seoul


Date

June, 2018